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슈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 쉽게 풀어쓴 정리!

by ekdtkxotk 2023. 11. 28.
반응형
SMALL

뉴스나 신문에 연일 나오고 있는 내년 부동산 공시가격이 동결된다느니 현실화율이 어쩌느니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몰라서 하나하나 찾아봤습니다.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쉬운 정리

 

부동산 공시가격 & 현실화율 도대체 무슨 말이야?

  • 공시가격? : 정부가 매년(1/1~6/1) 조사하고 평가하는 부동산의 평균가격으로 실제 부동산 거래가 매매되는 매매가(=시세)와는 다르다. 시세는 변동이 심하여 세금의 기준으로 삼기에는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
  • 현실화율? : 공시가격과 시세의 차이. 예를 들어 시세가 10억 인 어느 아파트의 공시가격이 7억이라면 [7억 ÷ 10억] = 70%. 이 70%가 '현실화율'로 표시되는 것이다.

24년도 부동산 현실화율 동결

 

공시가격 현실화란?

과거 정부에서 추진했던 계획으로 앞서 말한 현실화율[공시가격÷시세]을 90%까지 올리는 계획을 말한다. 공시가격 현실화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부동산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맞물려있는 60여 개의 세금들에 괴리가 생기기 때문인데 가장 먼저 부동산 보유세(재산세, 종부세)부터 차이가 생겨버린다.

24년도 현실화율 부동산

 

아파트(공동주택) 69%, 단독주택 53.6%, 토지 65.5%

23년도 현실화율 vs 24년도 현실화율 보유세 비교 계산

  1. 시세 10억 인 아파트 현실화율에 대한 보유세 비교계산 [X ÷10억]=69%, 공시지가(X)=6.9억 원
공시지가 690,000,000  
과세표준 310,500,000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육 45%적용
재산세 456,750 42만원 + 3억원 초과금액의 0.35%(감면적용)
지방교육세 91,350 재산세액의 20%
보유세 총 납부액 548,100 재산세 + 지방교육세

 

   2. 시세 10억 인 아파트 현실화율에 대한 보유세 비교계산 [X ÷10억]=73%, 공시지가(X)=7.3억 원

      (*21년도 목표 현실화율 73%)

공시지가 730,000,000  
과세표준 328,500,000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육 45%적용
재산세 519.750 42만원 + 3억원 초과금액의 0.35%(감면적용)
지방교육세 103,950 재산세액의 20%
보유세 총 납부액 623,700 재산세 + 지방교육세

 

현실화율이 높아질수록 세금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에 24년도에는 20년 수준으로 동결된 것이다. 이후의 현실화율에는 국민의 눈높이에서 현실화 계획을 재검토한다고 한다.

 

 

반응형
LIST